본문 바로가기

DAP/01.전사아키텍처

전사아키텍처 이해 > 아키텍처 매트릭스 정의

A기업의 전사아키텍처(EA) 수립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N컨설턴트는 A기업 아키텍처 메트릭스 정의 세션을 리딩하고 있다. 아키텍처 매트릭스 정의 시 고려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조직 내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산출물이 범위와 목적에 적합하게 정의 되었음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한다.
아키텍처 도메인은 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로 반드시 구성되어야 한다.
아키텍처 매트릭스는 IT 조직의 성숙도를 고려해서 정의한다.
EA 정보를 공유정보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EA 산출물에 포함된 정보를 중복이 없고 상호관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EA 정보 구성요소‘를 추가로 정의해야 한다.

# 기본 다지기
아키텍처 매트릭스
개념

-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의 핵심 구성요소
- 전사를 설명하는 모델과 원칙 정보를 통일된 시각에서 볼수 있는 논리적 틀

구성
- 일반적으로 의사결정 유형(관점), 아키텍처 정보 유형(뷰)의 2차원 형태를 띠고 있다.
- 아키텍처 정보 활용방안을 토대로 의사결정 유형과 아키텍처 정보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항목에 필요한 산출물을 도출하여 정의
- 의사결정 유형 : 조직의 의사결정 구조 및 시스템 생명주기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를 파악, 각 조직 사이의 이해 관점
- 아키텍처 정보 유형 : 정보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 그룹화하고 기업환경에 맞게 추상화 레벨 적용

산출물
- 의사결정 유형과 아키텍처 정보유형 매트릭스 관계에서 각 셀에 필요한 산출물을 정의
- 산출물의 정의는 방법론과 기업 업무 특성 및 문화에 의해서 좌우된다.
- 매트릭스 셀은 (현행 산출물, 목표 산출물, 산출물간 연관성, 표현방법 및 세부구성 정의)로 정의 내역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아키텍처 매트릭스 정의시 고려사항
1. 아키텍처 매트릭스에 정의된 산출물은 업무와 IT, 관리자와 실무자 사이의 중요한 의사소통 툴이다.
(일반적인 아키텍처 개념 포함 및 조직내 모든 계통의 사람이 산출물이 범위와 목적에 적합하게 정의되었는지 확신할수 있어야..)
2. 조직, 정치, 지리적 특성, 조직의 편견등 다양한 조직 문화와 의사결정 구조가 반영되어야 한다.
3. 실제 시스템과 아키텍처 개발 표준에 대한 준수성 높이고, 조직별 통일된 접근 가능하도록 정의
(IT조직의 성숙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4. 각 아키텍처 도메인은 상호간에 연계성을 가져야 한다.
(비즈니스 산출물은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 아키텍처에 반영되고, 전사 차원으로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 지게..)

정답 ) 2번
아키텍처도메인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업무, 애플리케이션, 기술,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나 기업의 목표에 따라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예) 범정부 아키텍처에서 '보안'이 추가 정의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