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기업은 전사 아키텍처(EA)를 수립하고 있는데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전사 기술 인프라의 표준화이다. 이에 기술 참조모델을 정의하고 있는데 기술 참조모델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기본 다지기
업무 참조모델
- 특정 기관의 독립적인 업무 기능을 중심으로 정의한 참조모델
- 조직과 무관한 기능위주의 접근
- 타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기준으로 활용가능
- 몇개의 업무영역으로 구분됨
- 업무 분석을 위한 공통 기준으로 활용될수 있음
- 정부의 업무 참조모델은 정책분야, 정책영역, 대기능, 중기능, 소기능등으로 분류
- 일반기업의 업무참조 모델은 흔히 사업영역, 업무영역, 업무기능 등으로 분류
서비스 참조모델
- 업무 수행과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서비스 요소를 분류하기 위한 기능중심의 평가 지향적 참조모델
- 업무 기능과는 별개로 서비스 영역 관점에서 시스템을 구조화
-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재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
- 여러개의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
- 각 서비스는 여러개의 서비스 유형으로 구분, 서비스 유형은 서비스 컴포넌트로 분류
(서비스 > 서비스 유형 > 서비스 컴포넌트)
기술 참조모델
- 업무와 서비스 구성요소의 전달과 교환, 구축을 지원해주는 표준, 명세, 기술요소를 기술하기 위한것
- 몇개의 핵심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
- 핵심 서비스는 하위수준의 서비스 범주나 기술표준으로 구성된다.
- 서비스 컴포넌트와 연관을 가지며, 정보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증대를 위한 기술표준을 강조한 구조
- 특성상 다양한 산업군 및 기업에 바로 적용가능
- 구축이 용이하며, 기대효과가 크므로 가장먼저 적용되는 참조모델이다.
- 기술 참조모델은 시스템 구축시 표준 프로파일을 분류하는데 활용가능
- 시스템 관리시 정보 자산을 분류하는데 활용
- 시스템 통합시 정보시스템간 유사성 판단 기준항목으로 활용가능
데이터 참조모델
- 기관간의 공통 정보의 파악, 활용의 지원, 기관간의 정보 공유
- 개괄모델, 데이터 분류, 데이터 구조, 데이터교환, 데이터 관리기준 등의 영역이 있음
- 데이터 분류 체계 (데이터 영역, 주제영역, 엔터티로 구분)
정답) 1번
- 기술 참조모델은 타 참조모델에 비해서 구축이 용이하고, 기대효과가 커서 가장 먼저 적용된다.
① | 기술 참조모델은 다른 참조모델에 비하여 구축하기 어렵고 기대효과가 적어 가장 나중에 적용하는 영역이다. |
② | 기술 참조모델은 몇 개의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되고 서비스 영역은 다시 하위 수준의 서비스 범주로 구성될 수 있다. |
③ | 기술 참조모델을 개별 기업에서 적용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큰 의미가 없다. |
④ | 기술 참조모델을 적용하면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 기본 다지기
업무 참조모델
- 특정 기관의 독립적인 업무 기능을 중심으로 정의한 참조모델
- 조직과 무관한 기능위주의 접근
- 타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기준으로 활용가능
- 몇개의 업무영역으로 구분됨
- 업무 분석을 위한 공통 기준으로 활용될수 있음
- 정부의 업무 참조모델은 정책분야, 정책영역, 대기능, 중기능, 소기능등으로 분류
- 일반기업의 업무참조 모델은 흔히 사업영역, 업무영역, 업무기능 등으로 분류
서비스 참조모델
- 업무 수행과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서비스 요소를 분류하기 위한 기능중심의 평가 지향적 참조모델
- 업무 기능과는 별개로 서비스 영역 관점에서 시스템을 구조화
-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재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
- 여러개의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
- 각 서비스는 여러개의 서비스 유형으로 구분, 서비스 유형은 서비스 컴포넌트로 분류
(서비스 > 서비스 유형 > 서비스 컴포넌트)
기술 참조모델
- 업무와 서비스 구성요소의 전달과 교환, 구축을 지원해주는 표준, 명세, 기술요소를 기술하기 위한것
- 몇개의 핵심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
- 핵심 서비스는 하위수준의 서비스 범주나 기술표준으로 구성된다.
- 서비스 컴포넌트와 연관을 가지며, 정보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증대를 위한 기술표준을 강조한 구조
- 특성상 다양한 산업군 및 기업에 바로 적용가능
- 구축이 용이하며, 기대효과가 크므로 가장먼저 적용되는 참조모델이다.
- 기술 참조모델은 시스템 구축시 표준 프로파일을 분류하는데 활용가능
- 시스템 관리시 정보 자산을 분류하는데 활용
- 시스템 통합시 정보시스템간 유사성 판단 기준항목으로 활용가능
데이터 참조모델
- 기관간의 공통 정보의 파악, 활용의 지원, 기관간의 정보 공유
- 개괄모델, 데이터 분류, 데이터 구조, 데이터교환, 데이터 관리기준 등의 영역이 있음
- 데이터 분류 체계 (데이터 영역, 주제영역, 엔터티로 구분)
정답) 1번
- 기술 참조모델은 타 참조모델에 비해서 구축이 용이하고, 기대효과가 커서 가장 먼저 적용된다.
'DAP > 01.전사아키텍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사아키텍처 이해 > EA 프로세스 (0) | 2009.09.29 |
---|---|
전사아키텍처 이해 > 참조모델의 활용 (0) | 2009.09.29 |
전사아키텍처이해 > 아키텍처 매트릭스 (0) | 2009.09.28 |
전사아키텍쳐 이해 > DAP의 역할 (0) | 2009.09.28 |
전사 아키텍쳐 이해 > 전사의 정의 (0) | 2009.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