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네이버 지식인
먼저 지지선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지선이란 주식 차트상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중 그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여 얻은 선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A기업의 주식이 평소에는 50,000원 부근에 있다가 30,000원까지 하락을
했습니다. 여기서 강력한 매수세에 의하여 ( 즉 A기업의 주식이 30,000원에 오면 무조건 살려고 하는 힘) 다시 상
승을 합니다. 그 후에 이 주식은 다시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며 파동을 하다가 다시 하락하여 30,000원 지점
까지 옵니다. 이 지점에서 이전 저점에서 그랬듯이 또 다시 강력한 매수세에 의하여 주식은 다시 상승을 하게 됩
니다. 이것을 주식에서의 지지선이라고 합니다.
알기 쉽게 차트를 보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차트를 실제로 보시니 말로 들을때보다 더 이해가 잘 가시죠. 이렇게 지지선이 확인되면 이 종목은 절대 이 아래
로는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이 지지선 아래로 주가가 떨어진다면 이 종목에 많은 금액
을 투자한 주식시장의 큰 손인 기관이나 외국인들이 자신들도 손해를 입게 되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는 무조건
매수를 함으로써 이 종목의 주가를 더이상 못내려오게 하는 것입니다.
이 다음으로는 저항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항선이란 주식차트상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그 고점을 연결한 선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B기업의 주식
이 50,000원 부근에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다가 한번 큰 힘작용으로 인해 상승을 합니다. 그래서 그 주식은
80,000 까지 올라가지만 너무 오른탓에 수익실현 물량으로 인해 다시 하락을 합니다. 그 후 이 종목은 다시 한번
상승을 시도하여 쭉 올라가지만 80,000원 부근에서 다시 하락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그 주가가 움직이는 파동
속에서 생기는 고점들을 연결한선.. 다르게 말하자면 주가가 그 이상을 올라가지 못하고 내려오게 되는 선을 저항
선이라고 합니다. 저항선이 생기는 이유는 첫번째로는 그 전에 이 종목은 80,000원 부근에서 맴돌던 종목 이었는
데 그 뒤로 이 종목은 계속 하락을 하게 됩니다. 그 후 다시 이 종목은 80,000원을 넘어서려 하지만 그 전 80,000
원 부근에 맴돌던 시기에 주식을 매수했던 사람들은 최소한 본전이라도 찾고 싶어서 80,000원까지 오면 대량으로
매도를 하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 때문에 이 주가는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내려오게 되는 것입니다. 또 하나의
이유는 이 종목을 매집하고있는 기관이나 외국인들이 좀더 이 종목의 물량을 모으기 위해서는 그 가격대 위로 올
라가면 더 비싼값에 물량을 모아야 되고, 그런 상황이 부담스럽기 때문에 이전에 자신들이 매집해 놓았던 물량중
일부를 매도하면서 주가를 떨어뜨리는 것입니다.
차트를 통해 저항선의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렇게 주가는 특정한 선에 다다르면 하락을 하게 됩니다.
이 글을 읽고 주식에서의 지지선과 저항선에 대해 조금이나마 더 알게 되셨기를 바랍니다.
'경제_닝게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장폐지 기업 급등 관련기사 (0) | 2010.03.04 |
---|---|
금융 (0) | 2010.02.22 |
기준금리, 콜금리, 지급준비율, 재할인율 (0) | 2010.02.22 |
[재테크일반]스트레스 없는 재테크를 위한 12가지 포트폴리오 (모네타에서..) (0) | 2010.02.14 |
부자로 가는 3가지 법칙 (0) | 201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