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키 그래픽 문자 보기
윈도2000/XP에는 QBASIC 이라는 도스용 베이직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안에 아스키 코드 테이블이 있는데, 윈도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는 그래픽 문자도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명령 프롬프트에서 chcp 437 이라고 쳐서 영문 모드로 바꾸어 줍니다. 그런 후, qbasic 이라고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큐베이직의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 Press Enter to see the Survival Guide > 라는 곳에서 엔터키를 칩니다.
Contents 라는 곳에 커서를 놓고 엔터키를 칩니다
Quick Reference 라는 상자 속의 ASCII Character Codes 에서 엔터키를 칩니다.
그림 속의 아스키 번호는 모두 십진수입니다. 176(십진수)번부터가 그래픽 문자입니다. 윈도우 환경에서는 그래픽 문자가 쓰이지도 않고,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CLI), 즉 도스창 환경에서도 영문 모드일 때만 보입니다. 왜냐하면 그래픽 문자를 2개씩 짜맞추서 한글 1자를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한글 모드로 돌아오는 명령은 chcp 949 입니다.
윈도2000/XP에는 QBASIC 이라는 도스용 베이직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안에 아스키 코드 테이블이 있는데, 윈도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는 그래픽 문자도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명령 프롬프트에서 chcp 437 이라고 쳐서 영문 모드로 바꾸어 줍니다. 그런 후, qbasic 이라고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큐베이직의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 Press Enter to see the Survival Guide > 라는 곳에서 엔터키를 칩니다.
Contents 라는 곳에 커서를 놓고 엔터키를 칩니다
Quick Reference 라는 상자 속의 ASCII Character Codes 에서 엔터키를 칩니다.
그림 속의 아스키 번호는 모두 십진수입니다. 176(십진수)번부터가 그래픽 문자입니다. 윈도우 환경에서는 그래픽 문자가 쓰이지도 않고,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CLI), 즉 도스창 환경에서도 영문 모드일 때만 보입니다. 왜냐하면 그래픽 문자를 2개씩 짜맞추서 한글 1자를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한글 모드로 돌아오는 명령은 chcp 949 입니다.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KNOWNFOLDERID (0) | 2009.08.25 |
---|---|
[Java Script] Array의 Sort Method (0) | 2009.06.22 |
[ASCII Code] 아스키 코드 제어 문자 기능과 명칭 목록 (0) | 2009.04.17 |
[File Access] End of File 의미하는 특수문자 (0) | 2009.04.17 |
[Visual Studio] IE 8.0 업데이트 후 VS2005, VS2008 wizard 스크립트 오류 해결책 (0) | 2009.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