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P/01.전사아키텍처

전사아키텍처이해 > 아키텍처 매트릭스


A기업은 전사아키텍처(EA)를 추진 중에 있는데 관리되어야 할 아키텍처 정보의 수준을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협의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키텍처 매트릭스에 대한 내용 설명 중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은?
아키텍처 매트릭스를 통해 아키텍처 정보를 분류하는 차원은 기업의 특성에 맞게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아키텍처 매트릭스는 EA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틀로서, 기업이 관리하려고 하는 EA 정보의 수준과 활용 계층의 분류를 통하여 결정 될 수 있다.
아키텍처 매트릭스에서 뷰(View)는 비니지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기술 등으로 구성하고, 관점(Perspective)은 계획자, 책임자, 설계자, 개발자 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아키텍처 도메인 구성은 기업이 아키텍처 매트릭스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기본기 다지기
아키텍처 매트릭스 :
- 전사아키텍처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틀
- 기업이 관리하려고 하는 전사아키텍처 정보의 수준과 활용계층을 결정하는 수단
- 일반적으로 뷰와 관점의 2가지 차원으로 구분한다.
- 뷰와 관점이 교차되는 셀에는 전사아키텍처 정보의 실체인 산출물이 정의된다.
- 가로 방향을 뷰라고 하며, 세로방향을 관점이라고 한다.
- 일반적으로 뷰는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기술 등으로
- 일반적으로 관점은 계획자, 책임자 or 분석가, 설계자, 개발자 등으로 분류
- 각 셀은 전후, 좌우의 연관성을 가져야 한다.
- 셀간 추적성이 확보 되어야 한다.

해답)
3 번 : 아키텍처 매트릭스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뷰 - 기업이 관심 갖는 정보 유형에 따라 구성되고
관점 - 기업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구성될수 있다.